기간별 수익률
( 기준 ) (단위:%)
기간수익률
|
1개월 |
3개월 |
6개월 |
1년 |
3년 |
5년 |
펀드 |
|
|
|
|
|
|
%순위 |
|
|
|
|
|
|
BM |
|
|
|
|
|
|
유형평균 |
|
|
|
|
|
|
변동성 지표
기간수익률
구분 |
6개월 |
1년 |
3년 |
펀드 |
동일유형 |
펀드 |
동일유형 |
펀드 |
동일유형 |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는 투자기간 동안 펀드수익률이 평균수익률과 대비하여 변동한 범위를 측정하기 위한 통계량으로써 값이 클수록 변동성이 심하므로 위험이 크고, 값이 작을수록 위험이 작다고 할 수 있습니다.
베타(Beta)는 시장수익률과 펀드수익률과의 상호변동관계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비교지수가 1% 변할 때 펀드수익률이 몇 % 변하는지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베타계수가 1.5인 펀드는 시장수익률이 1%증가(감소)할 때 같은 방향으로 평균적으로 약 1.5% 증가(감소)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샤프지수(Sharpe Ratio)는 펀드의 위험 1단위에 대한 초과수익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즉, 1이라는 위험을 부담하는 대신 얻은 대가, 즉 초과수익이 얼마인가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샤프지수가 높을수록 투자성과가 성공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정보비율(Information Ratio)은 적극적인 투자활동의 결과 나타나는 초과수익률과 적극적인 활동에 따른 수익률의 표준편차의 비율을 말합니다. 계산식 = (펀드수익률 – BM수익률)÷추적 오차의 표준편차. 미국에서는 실무적으로 0.5 이상이면 우수, 0.75 이상이면 매우 우수, 1.0 이상이면 탁월한 펀드로 보고 있습니다.
젠센의 알파: 개별펀드의 실제수익률이 시장균형을 가정한 경우의 기대수익률보다 얼마나 높은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펀드 매니저의 종목선정능력을 나타냅니다. 알파의 값이 크면 클수록 펀드매니저의 종목선정능력이 뛰어남을 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