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전략
-
[경제분석] 11월 미국 ISM 제조업: 둔화보다는 반등
미국 ISM 제조업 PMI는 예상치를 하회했습니다. UAW 파업 여파와 경기 불확실성이 부담으로 작용했기 때문입니다. 파업 영향 약화, 재고 사이클 반등, 정부의 제조업 강화 기조 등을 감안하면, 2024년 제조업 경기는 반등할 전망입니다.
국내외 경제 임혜윤 2023.12.04
-
[경제분석] 11월 한국 수출: 온기 유지
한국 수출이 2개월 연속 전년동월대비 증가했습니다. 반도체를 비롯해서 대다수 주요품목이 양호한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입니다. 최근 P, Q 흐름이 눈에 띄는 품목은 반도체, 자동차/부품, 기계, 무선통신기기, 화장품 정도입니다.
국내외 경제 임혜윤 2023.12.01
-
[경제분석] 10월 한국 산업활동동향: 회복 전망은 유효
10월 국내 생산, 소비 및 투자는 모두 전월대비 감소했습니다. 반도체 생산이 부진한 가운데, 비내구재 판매와 기계류 투자도 둔화됐기 때문입니다. 다만, 수출 회복과 제한적일 소비 둔화 등을 감안하면, 완만한 경기 회복 흐름은 지속될 전망입니다.
국내외 경제 임혜윤 2023.11.30
-
[경제분석] 11월 중국 제조업 PMI: 정책 대응이 필요한 시점
11월 중국 제조업 PMI는 수요 관련 지수를 중심으로 하락했습니다. 대내외 수요 회복이 더디다는 의미인데, 다행스러운 부분은 당국이 보다 적극적인 재정 지출을 고려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시장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당국의 구체적인 움직임이 선행돼야 할 것입니다.
국내외 경제 임혜윤 2023.11.30
-
[경제분석] 정부 찬스
내년에도 미국은 확장재정을 유지할 것이고, 중국 재정자극 또한 강해질 전망입니다. 정부 지출 확대에 대한 우려가 존재하지만, 여전히 재정정책은 효과적인 카드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국내외 경제 임혜윤 2023.11.17
-
[경제분석] 10월 중국 실물지표: 올바른 방향
10월 중국 실물지표는 생산과 소비를 중심으로 회복세가 강해졌습니다. 경기 회복이 지속되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입니다. 최근 당국에서는 재정적자 목표 상향을 논의 중입니다. 민간 수요가 강하진 않기 때문에 재정지출 확대는 효과적인 카드가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국내외 경제 임혜윤 2023.11.16
-
[경제분석] 10월 미국 소매판매: 무난한 둔화
미국 소매판매는 7개월 만에 전월대비 감소했습니다. 내구재 판매가 부진했기 때문입니다. 경기가 Peak out하고 있기 때문에 소비 둔화 흐름은 지속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실질임금 상승, 상대적으로 양호한 서비스 소비 등을 감안하면, 둔화 폭은 크지 않을 전망입니다.
국내외 경제 임혜윤 2023.11.16
-
[경제분석] 10월 미국 CPI: 완만해질 기울기
미국 CPI가 예상을 하회했습니다. 에너지 물가가 하락했고, 주거 물가는 둔화됐기 때문입니다. 추가 금리 인상 우려는 상당부분 해소됐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여전히 높은 Core CPI를 감안하면, 금리 인하는 내년 하반기에나 가능할 전망입니다.
국내외 경제 임혜윤 2023.11.15
-
[경제분석] 10월 미국 고용: 여전한 초과수요
미국 고용지표가 예상을 하회했습니다. 구인수요가 둔화되는 가운데, UAW 파업 영향도 반영됐기 때문입니다. 고용 증가세가 약해졌지만, 노동시장은 여전히 초과수요 상태입니다. 구직자들이 일자리를 찾기가 크게 어렵지 않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고용의 급격한 위축을 우려할 시점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국내외 경제 임혜윤 2023.11.06
-
[경제분석] 10월 미국 ISM 제조업: 불확실성에 대응하기
미국 ISM 제조업 PMI가 하락 전환했습니다. 대다수 세부지표가 부진했는데, 이는 기업들이 높아진 불확실성에 대응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만, 양호한 가계 구매력, 낮아진 재고 수준 등을 감안하면, 제조업 반등이라는 큰 방향성은 유지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국내외 경제 임혜윤 2023.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