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전략
-
[경제분석] 5월 미국 고용: 여전히 뜨겁다
5월 미국 고용지표도 예상을 상회했습니다. 실업률 상승은 노동공급 회복 과정에서 나타나는 변화라고 생각합니다. 양호한 구인수요와 저소득층 구매력, 임금 상승세 약화 등은 고용 둔화가 완만하게 진행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그렇다면, 소비가 급격하게 위축될 가능성도 높지 않습니다.
국내외 경제 임혜윤 2023.06.05
-
[경제분석] 5월 한국 수출: 긍정적인 변화
한국 수출의 저점 통과 조짐이 강해지고 있습니다. 수출단가와 물량 동반 개선, 반도체 수출 회복 등이 일평균 수출액 반등을 주도했습니다. 화장품, 2차전지, 철강 등 반도체 이외 품목의 수출도 바닥을 지나고 있음을 감안하면, 수출은 이번 분기를 저점으로 반등할 전망입니다.
국내외 경제 임혜윤 2023.06.01
-
[경제분석] Not Bad
하반기 세계경제는 급격한 위축도 탄력적인 회복도 아닌 상/하방이 제한된 흐름을 보일 전망입니다. 투자 부진은 불가피하지만, 소비 둔화가 완만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매크로 사이클은 당분간 주가에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지만, 깊은 침체가 아니라면 조정은 단기에 그칠 것입니다. 주식 비중을 점진적으로 확대하는 전략은 여전히 유효합니다.
국내외 경제 임혜윤 2023.05.19
-
[경제분석] 4월 중국 실물지표: 부진한 수요
4월 중국 실물지표는 예상보다 부진했습니다. 국영기업을 중심으로 한 생산 증가, 서비스에 집중된 소비 회복은 공통적으로 수요 부진을 시사합니다. 수요가 회복되려면, 가계 구매력이 개선돼야 합니다. 가처분소득 증가, 가계대출 수요 회복, 주택가격 반등이 선행돼야 하반기 중국의 탄력적인 성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입니다.
국내외 경제 임혜윤 2023.05.16
-
[경제분석] 4월 미국 소비자물가: 금리 인상 중단의 근거
미국 물가 상승세 둔화가 지속됐습니다. 휘발유와 중고차 가격 반등이 물가를 끌어올렸지만, 그 이외 상품과 서비스 물가 상승세는 약해졌기 때문입니다. 물가 둔화 흐름이 재확인되면서 6월 금리 인상 중단이 유력해졌습니다. 다만, 하반기 물가 둔화폭이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보여 여전히 연내 금리 인하 가능성은 낮다고 생각합니다.
국내외 경제 임혜윤 2023.05.11
-
[경제분석] 4월 미국 고용: 믿을 만한 구석
4월 미국 고용지표는 예상을 상회했습니다. 서비스업이 고용 회복을 주도한 가운데, 제조업 고용도 양호했기 때문입니다. 고용 둔화가 천천히 진행된다면, 소비가 급격하게 위축될 가능성은 높지 않습니다. 양호한 소득을 토대로 한 소비가 하반기 미국 경기 위축을 제한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국내외 경제 임혜윤 2023.05.08
-
[경제분석] 4월 한국 수출: 아직은 미약한 회복 시그널
한국 수출 부진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반도체 수출 감소폭이 확대됐고, 수출단가 하락도 이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반도체 업황 개선, 글로벌 제조업 둔화 압력 완화 등을 감안하면, 수출 경기는 2/4분기를 저점으로 완만하게 반등할 전망입니다.
국내외 경제 임혜윤 2023.05.02
-
[경제분석] 한국, 2Q가 저점
1/4분기 국내 GDP는 전기대비 성장했지만, 그 폭은 크지 않았습니다. 투자가 부진했고, 소비 반등도 제한됐기 때문입니다. 최근 수출의 반등 조짐을 감안하면, 국내 경기는 2/4분기 저점을 지나 하반기에는 수출을 중심으로 반등할 전망입니다. 다만, 소비와 투자 회복이 더뎌 반등폭은 제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국내외 경제 임혜윤 2023.04.25
-
[경제분석] 중국, 소비가 주도한 성장
1/4분기 중국 경제성장률은 예상치를 상회했습니다. 소비가 성장을 주도했기 때문입니다. 방역 완화 효과로 서비스 소비가 탄력적으로 늘어나고 있어 2/4분기에도 견조한 성장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다만, 하반기까지 탄력적인 성장이 지속되기 위해서는 가계 구매력 회복이 선행돼야 합니다.
국내외 경제 임혜윤 2023.04.18
-
[경제분석] US Mild Recession
하반기 미국 경기는 짧고 얕은 침체에 직면할 전망입니다. 긴축적인 금융환경은 부담이지만, 소비 둔화폭이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입니다. 매크로 사이클을 토대로 보면, 당분간은 주가 조정을 염두에 둬야 합니다. 물론, 급격한 침체가 아니라면, 조정은 단기에 그칠 것입니다.
국내외 경제 임혜윤 2023.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