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하위메뉴 바로가기 웹접근성 안내(센스리더 이용가이드)


투자전략

  • [경제분석] 미국의 비교우위 [경제분석] 미국의 비교우위

    미국의 제조업 육성은 경제 논리와 정치 논리 모두에 부합합니다. 제조업 부문에서 큰 소득이 없었던 지난 10여년과는 다를 것으로 예상하는 이유입니다. 미국 제조업 강화와 공급망 재건은 우리 기업들에게도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국내외 경제 임혜윤 2023.09.15

  • [경제분석] 8월 중국 실물지표: 방향성은 정해졌다 [경제분석] 8월 중국 실물지표: 방향성은 정해졌다

    8월 중국 실물지표가 생산과 소비를 중심으로 반등했습니다. 경기 사이클 상 저점에 근접한 시기에 정책 대응이 더해졌기 때문입니다. 앞으로도 경기 방향성은 회복일 것으로 예상합니다. 다만, 부진한 대외수요와 제한적인 정책여력을 감안하면, 그 속도는 더딜 가능성이 높습니다.

    국내외 경제 임혜윤 2023.09.15

  • [경제분석] ECB, 금리 인상의 마무리 단계 [경제분석] ECB, 금리 인상의 마무리 단계

    ECB는 정책금리를 4.50%로 25bp 인상했습니다. 인플레이션 둔화 추세를 이어가기 위한 결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물가 상승세 둔화 추세와 부진한 경기를 감안하면, 금리 인상은 마무리 단계라고 판단합니다.

    국내외 경제 임혜윤 2023.09.15

  • [경제분석] 8월 미국 소매판매: 완만한 둔화 [경제분석] 8월 미국 소매판매: 완만한 둔화

    미국 소매판매는 전월대비 증가했습니다. 주유소 판매가 크게 늘었고 내구재 판매도 대체로 양호했습니다. 소비심리 회복과 양호한 가계 구매력을 감안하면, 급격한 소비 둔화 가능성은 낮다고 생각합니다. 소비 완만하게 둔화된다면, 물가에 대한 불확실성은 당분간 지속될 수 있습니다.

    국내외 경제 임혜윤 2023.09.15

  • [경제분석] 8월 미국 CPI: 방심은 금물 [경제분석] 8월 미국 CPI: 방심은 금물

    미국 물가의 전월대비 상승세가 강해졌습니다. 유가 상승과 서비스 물가의 하방 경직성이 각각 Headline과 Core 물가에 반영됐기 때문입니다. 높아진 유가와 더딘 서비스 수요 둔화는 물가 상승률 하락을 제한하는 요인입니다. 이번 달 연준이 금리를 동결해도 물가와 금리에 대한 불확실성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국내외 경제 임혜윤 2023.09.14

  • [경제분석] 8월 미국 ISM 제조업: 긍정적인 방향 [경제분석] 8월 미국 ISM 제조업: 긍정적인 방향

    미국 ISM 제조업 PMI가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생산과 고용 등이 반등했기 때문입니다. 수주잔고와 공급자 운송 지수 개선은 제조업 경기가 저점에 근접했음을 시사합니다. 향후 반등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입니다. 탄력적인 회복은 쉽지 않겠지만, 서비스업 Peak out에 따른 하방 압력을 완화할 수 있다는 점은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국내외 경제 임혜윤 2023.09.04

  • [경제분석] 8월 미국 고용: 불균형 해소 중 [경제분석] 8월 미국 고용: 불균형 해소 중

    미국 실업률과 경제활동참가율이 모두 상승했습니다. 수요는 둔화되는데, 공급은 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노동시장이 초과공급인 상황에서 공급이 더 늘어날 경우, 충격은 불가피합니다. 하지만, 지금은 구인수요가 공급보다 많은데, 그 격차가 줄고 있는 상황입니다. 급격한 고용 위축을 우려할 시점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국내외 경제 임혜윤 2023.09.04

  • [경제분석] 8월 한국 수출: 반도체가 반등했다 [경제분석] 8월 한국 수출: 반도체가 반등했다

    한국 수출 감소폭이 축소됐습니다. 수출물량이 지난달 대비 늘었고, 부진했던 반도체 수출이 반등했습니다. 향후 수출은 완만한 회복세를 이어가면서 4/4분기 중 플러스 전환도 가능할 것 같습니다. 반도체 업황 개선과 석유제품, 디스플레이 등의 수출 저점 통과가 우호적으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국내외 경제 임혜윤 2023.09.01

  • [경제분석] 7월 한국 산업활동동향: 저점 통과 중 [경제분석] 7월 한국 산업활동동향: 저점 통과 중

    지난달에는 생산, 소비, 투자 모두 전월대비 감소했습니다. 반도체 업황 부진이 이어진 가운데, 소비와 투자도 둔화됐기 때문입니다. 반도체 수출 회복, 소비심리 개선 등을 감안하면, 경기가 추가로 위축될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국내외 경제 임혜윤 2023.08.31

  • [경제분석] 8월 중국 제조업 PMI: 반등 조짐은 확인 [경제분석] 8월 중국 제조업 PMI: 반등 조짐은 확인

    8월 중국 제조업 PMI는 반등했습니다. 신규 주문, 생산 등이 상승하면서 수요 회복을 반영했다는 점이 긍정적입니다. 제조업 수요 회복과 당국의 정책대응은 경기 반등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입니다. 다만, 대외수요 부진과 미약한 구매력 회복을 감안하면, 반등은 더디게 진행될 전망입니다.

    국내외 경제 임혜윤 2023.08.31

더 많은 투자정보를 원하세요?
다양한 정보를 만나보시고 더 유익한 투자가 되길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