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전략
-
[경제분석] 5월 미국 CPI: 순탄치 않을 둔화
미국 물가는 예상을 하회했습니다. 상품과 서비스 물가 상승 압력이 강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향후 물가 둔화는 이어지겠지만, 둔화 경로는 울퉁불퉁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국내외 경제 최규호 2025.06.12
-
[경제분석] 5월 미국 고용: 점진적인 둔화
5월 미국 고용은 양호했습니다. 서비스업 고용이 늘었기 때문입니다. 하반기에도 고용은 약해지겠지만, 노동시장으로 돌아오는 인구가 늘고 있어 위축보다는 완만한 둔화에 그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국내외 경제 최규호 2025.06.09
-
[경제분석] ECB, 앞으로는 천천히
ECB는 정책금리를 인하했습니다. 물가 안정이 이어지는 가운데 관세 부담이 남아있기 때문입니다. 하반기에는 관세와 경기 우려가 완화되며 금리 인하 속도를 조절할 전망입니다.
국내외 경제 최규호 2025.06.09
-
[경제분석] 5월 미국 ISM 제조업: 회복 지연
미국 ISM 제조업지수는 예상을 하회했습니다. 신규 주문과 생산은 개선됐으나 재고가 크게 감소했기 때문입니다. 하반기에는 제조업이 회복될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당장은 관세 부담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국내외 경제 최규호 2025.06.04
-
[경제분석] 5월 한국 수출: 외로운 반도체
지난달 일평균 수출은 올해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반도체가 강해졌기 때문입니다. 반면, 반도체 이외 품목 수출 회복에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당분간 IT와 Non-IT의 상반된 흐름은 지속될 전망입니다.
국내외 경제 임혜윤 2025.06.02
-
[경제분석] 4월 한국 산업활동동향: 관세 여파가 잦아들면
4월 국내 경기는 둔화됐습니다. 관세 여파로 반도체와 자동차 생산이 줄었고, 소비와 투자도 약했기 때문입니다. 하반기 경기는 관세 완화와 정책 대응에 힘입어 반등할 전망입니다.
국내외 경제 최규호 2025.05.30
-
[경제분석] 2025년 하반기 경제전망 - 해피엔딩
실물경기가 불확실성을 과도하게 반영한 심리지표의 경로를 따라갈 것 같진 않습니다. 실물경기와 심리지표의 격차는 심리가 회복되면서 줄어들 전망입니다. 경기 사이클과 정책여력 모두 우위에 있는 非미국 자산에 대한 선호를 유지합니다.
국내외 경제 임혜윤 2025.05.23
-
[경제분석] 4월 중국 실물지표: 관세로 주춤했지만
중국 실물지표는 둔화됐습니다. 생산은 양호했지만 소비와 투자는 예상을 하회했습니다. 당국에서 내수 중심의 대응책을 발표한 만큼, 향후 성장에는 소비가 중심이 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국내외 경제 최규호 2025.05.19
-
[경제분석] 4월 미국 소매판매: 당분간은 둔화
미국 소매판매는 둔화됐습니다. 외식 소비는 양호했지만 품목 전반적으로 판매 증가율이 하락했기 때문입니다. 당분간 소비는 관세 우려에 따른 수요 부담이 반영되며 완만하게 약해질 전망입니다.
국내외 경제 최규호 2025.05.16
-
[경제분석] 4월 미국 CPI: 둔화 지속, 속도는 조절
미국 물가 둔화가 이어졌습니다. 상품과 주거비를 제외한 서비스 물가 상승 압력이 약했기 때문입니다. 물가 둔화 추세는 지속되겠지만, 그 속도는 더딜 전망입니다.
국내외 경제 최규호 2025.05.14